정보성 글/생활꿀팁

전기기사 , 전기산업기사 응시자격과 차이점(1/2)

가인보 2022. 9. 15. 16:58
반응형

최근 직종 변경을 위해 이것저것 찾아보던 중 전기기사에 대해 궁금증이 생겼는데요. 저와 같은 분들께도 정보를 드리고자 글을 적어내려가 보도록 하겠습니다!

크게 3 가지로 나눠 설명 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
 

  1. 응시자격
  2. 시험의 난이도 및 가산점의 정도
  3. 취업 후 자격증 우대 정도의 차이

 

전기산업기사와 전기기사

 

우선 비전공인 제 입장에서 이야기해보자면, 어떤 자격증이 우선되어야 할지 잘 모르겠더라고요. 인터넷을 여기저기 뒤져보기는 했지만 '두 자격증의 이름이 비슷해서 잘 몰랐는데 차이점이 이런 거구나!!(유레카)' 하는 글은 없더라고요.. 대부분 업체의 광고글이거나 시험 보신 분들께서 올려주시는 과목 설명 정도 더라고요. (*주관적일 수 있음) 여기저기서 찾아본 글과 카더라 통신을 통해 들은 내용이니 참고 바랍니다.

 

 

1) 응시자격

 

산업기사와 기사는 이름에서부터 미세하게 다르듯 응시자격 또한 미세한 차이가 있습니다 ㅎㅎ (한국산업인력공단<Q-net>에서 자격 기본정보, 시험정보 등을 보다 자세하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)

 

  • 전기산업기사 : 관력학과 출신의 경우 전문대졸(2-3년제) 이상부터 응시가능
  • 전기기사        : 관련학과 출신의 경우 4년 제대졸 이상부터 응시 가능

 

표로 자세한 내용을 참고하시고, 보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산업인력공단 홈페이지나 고객센터에 문의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(저는 관계자가 아닌 관계로..)

 

 

 

시험난이도

위 표를 보시면, 전기기사는 대체적으로 20% 이상의 합격률을 보이고, 전기산업기사의 경우 20~30%로 편차가 크네요^^; 실기가 조금 더 쉬운 가봅니다... 수치가 말해주는 합격률은 이러하고, 객관적인 사실을 살펴보자면 전기기사 시험이 전기산업기사보다 공부해야 하는 과목수가 1과목 더 많습니다.

전기기사 전기자기학, 전력공학, 전기기기, 회로이론,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, 제어공학
전기산업기사 전기자기학, 전력공학, 전기기기, 회로이론,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

시중에 나와있는 인터넷 강의들을 보면 전기기사와 전기산업기사의 강의가 크게 구분되어 있지 않은데요. 과목이 겹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. 필기의 경우에는 크게 차지가 없지만, 실기의 경우에는 전기기사가 조금 더 까다롭다고를 하시더라고요. 자격증 이름이 달라서 과목이랑 수강하는 강의도 완전히 다를 거라고 생각했지만 이 부분은 의외였습니다. 모든 시험은 기출문제가 최고의 참고서인거 다들 아시죠. 

 

취업 및 시험 등 각종 가산점 정도 차이

많은 분들이 취업이나 시험 응시에 있어 필요하기 때문에 이 자격증을 따려고 하셔서 많이들 궁금해 하실 것 같은데요. 사기업, 공기업, 공무원 등으로 나눠볼 수 잇겠습니다. 사기업에서는 각 회사별로 내규에 따라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정형화 하기가 쉽지 않아 법에 따로 기재되어 있는 공기업, 공무원 파트만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 전기기사 전기산업기사
공기업 ~10점 5점
경찰공무원 4점 2점
전기기술직공무원 두 자격증 모두 7급 가산3%, 9급 가산5%

(공기업 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자게한 내용은 각 기업의 내규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)

결론 : 가산점 많이 주는 게 상위자격증

 

3) 취업 후 자격증의 우대정도

요 파트는 다음 글로 이어서 들고오도록 할게요! 오늘의 집중력이 여기까지인가봅니다 ...

반응형